국내에서 가장 흔한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급성 A형 간염'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셔터스톡
국내에서 가장 흔한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급성 A형 간염'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셔터스톡

국내에서 가장 흔한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급성 A형 간염'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반인에게 다소 낯선 E형 간염이 그 뒤를 이었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최광현·정숙향 교수 연구팀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12개 대학병원에서 급성 간염 환자 428명 데이터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급성바이러스 간염의 원인 분포/분당서울대병원 제공,연합뉴스
급성바이러스 간염의 원인 분포/분당서울대병원 제공,연합뉴스

연구 결과 전체 급성 간염 환자 중 37.5%는 급성 바이러스 간염이었다.

급성 바이러스 간염은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간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바이러스 감염 후 잠복기를 거쳐 발열, 구토, 복통,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치료를 통해 회복하나 평소 만성 간 질환이 있거나 면역력이 약할 경우 드물게 간 기능을 상실할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바이러스 간염 원인은 급성 A형 간염이 78.8%로 가장 많았다.

급성 E형 간염(7.5%),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간염(3.1%), 급성 B형 간염(3.1%), 급성 C형 간염(1.9%), 거대세포바이러스 간염(1.2%), 헤르페스-심플렉스 바이러스 간염(0.6%) 순이었다.

입원 치료한 환자 비율은 86.7%, 투석 치료를 받은 환자 비율은 3.2%,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비율은 0.6%로 나타났다. 간부전을 보인 환자 비율은 1.3%였다. 간이식을 받거나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A형 간염 환자의 40.5%는 익히지 않은 조개나 굴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E형 간염 환자의 27.8%는 말린 과일을, 11.1%는 멧돼지의 혈액 및 담즙을 섭취한 것으로 보고됐다.

A·E형 간염은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감염될 수 있어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높은 온도에 가열해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 생고기와 육가공 식품, 조개류 등을 섭취할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 중 A형 간염은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 있으므로 평소 만성 간 질환을 앓고 있다면 접종하는 게 좋다.

반면 E형 간염은 아직 백신이 없으므로 평소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해야 한다. E형 간염은 무증상으로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만성 간 질환자에선 중증 질환으로 악화할 수 있다.

최 교수는 "급성 바이러스 간염 중 국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급성 A형 간염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그 뒤를 잇는 급성 E형 간염에 대해서는 일반인은 물론이고 의료인 사이에서도 인지도가 낮아 조금 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서울=연합뉴스)

저작권자 © 마음건강 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