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 생활을 하면서 많은 죽음을 지켜봤다. 지난주에는 교도소에서 나온 지 여섯달 만에 자살을 한 남자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그는 대낮에 바로 옆방에 사람이 있는데도 얇은 벽 하나를 두고 천정에 줄을 묶고 목을 매달아 죽었다. 바로 옆방에 있던 집주인 여자가 내게 이런 말을 했다.

“숨이 끊어지는 순간 얼마나 괴로웠겠어요? 그때 몸부림을 치면서 발이 벽에 조금만 닿았더라도 내가 바로 알아차렸을 거예요. 그런데 그 남자는 그러지를 않았어요. 죽겠다고 단단히 결심하고 미동도 하지 않은 거예요. 참 독한 사람이예요.”

나는 그가 죽은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십사년 동안이나 영화 빠삐용의 주인공같이 고독한 징역 생활을 견뎌온 사람이었다. 집주인 여자도 죽음의 원인이 궁금했던지 내게 이런 말을 했다.

“죽은 남자가 서울로 일자리를 얻으러 다녀오곤 했어요. 그러다가 마지막엔 좋아했어요. 음식점에서 차로 손님들을 모시는 일을 하기로 했대요. 그러다가 죽기 전날밤 전화를 받고 절망하는 걸 봤어요. 식당 주인이 살인 전과가 있어 쓰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은 것 같아요. 다음 날 목을 매 자살한 거예요.”

교도소의 벽보다 사회적 편견의 벽이 더 두껍고 견디기 힘들었던 것 같다. 그의 죽음을 배웅하면서 깨달은 건 저승으로 가는 그를 위해 눈물 한 방울 흘려주는 사람이 없는게 더 불행이라는 것이었다. 어떻게 그렇게 자신을 쉽게 죽일 수 있었을까.

자살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친구가 그 순간의 고통을 내게 얘기한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허리띠를 벽 위에 박힌 굵은 대못에 걸고 의자에 올라 목을 맸지. 그리고 의자를 발로 차서 목이 걸리는 순간이었어. 혁대의 버클 부분이 약해서 떨어져 나가는 바람에 나는 방바닥에 궁둥방아를 찧었지. 그 짧은 순간의 고통은 말도 못해. 그래서 그 방법으로는 다시는 자살을 하지 않기로 했어. 물에 빠져 죽는 것도 그 죽는 몇 초 사이가 일평생 겪은 고통을 합친 것보다도 더 크다고 하잖아?”

그래서 안락사 회사들이 생겨나는 것 같다. 얼마 전 아는 부잣집 부인이 내게 이런 말을 했다.

“돈 삼천만원이면 스위스로 가서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대요. 요즈음은 자유경쟁으로 이천 오백만원으로 가격이 내려갔다고 하더라구요. 유골을 집까지 택배 서비스로 보내준다고 하던데요?”

그 말을 들으니까 떠오르는 게 있었다. 독특한 죽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있다. 잠자듯 꿈을 꾸듯 죽는 데는 십억원 그리고 환희를 느끼면서 죽게 해 주는 데에는 전 재산이 그 비용이다. 의료 보험이 안되는 미국에서 병원 한 번만 갔다와도 수천만원, 수억원이 드는 것과 비교하면 황당한 것 만도 아니다.

평생을 남의 눈물을 뽑으면서 돈만 벌어온 남자가 죽음을 맞이하게 됐다. 마지막 순간 그는 자신의 전 재산을 주겠다고 하면서 환희 속에서 죽는 서비스를 신청했다. 그러나 그 회사는 정부 당국에 의해 폐쇄됐다.

그 남자는 죽는 순간 평생 사랑했던 돈이 무의미하다는 걸 깨달았다. 아내도 자식도 모두 그가 가졌던 돈에만 신경 썼다. 이상하게도 그를 조용히 뒷바라지 했던 여비서만이 그의 임종을 담담히 지킨다.

그가 죽으려는 순간 비로서 여비서는 그의 얼굴을 가슴에 꼭 껴안았다. 그의 영혼이 몸을 빠져나와 그 모습을 보면서 후회한다. 말없이 자기를 사랑해 주던 여비서에게 아무것도 해주지 못했음을. 소설가 아시다 지로의 단편소설 ‘죽음비용’에서 본 내용이다.

앞으로 환희에 찬 죽음을 파는 그런 회사가 탄생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죽음의 터널을 지나는 순간은 무서울 것 같다. 저승길을 배웅해 주다 보면 진정한 눈물 한 방울을 얻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 같다.

요즈음 아내는 ‘데쓰 클리닝’을 한다고 하면서 그동안 집안을 가득 채웠던 물건들을 그게 필요한 사람에게 기부하고 있다. 내가 젊어서 입던 옷들중 아꼈던 쟈켓이나 바지 그리고 티셔츠 두 트렁크 분량을 자살한 그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모아만 들이던 물건은 나누고 정작 만들어야 할 것은 죽은 후 묘지에 꽃 한 송이 가져다 놓을 사랑이 아닐까.

글 | 엄상익 변호사

경기중-고, 고려대 법대를 나오고 제24회 사법시험(1982)에 합격했다. 6공 때, 국정원 전신인 국가안전기획부 특별보좌관실에 근무하며 권부의 이면을 보았다. 변호사를 하면서 ‘대도 조세형’, ‘탈주범 신창원’ 등 사회 이목을 끌은 대형사건 피의자들을 변호했다. 글쓰기를 좋아해 월간조선을 비롯, 조선-중앙-동아일보 등에 칼럼을 연재했고 수필집, 장편 소설 등 10여권의 책을 저술했다.

저작권자 © 마음건강 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